본문 바로가기
투자전략

1월 7일 미국 증시가 급락한 이유

by 영국유학남 2025. 1. 8.
반응형

1월 7일 미국 증시가 하락한 이유

최근 발표된 서비스업 활동과 고용 지표가 예상보다 호조를 보이면서, 채권 트레이더들은 연방준비제도의 금리 인하 기대감을 완전히 철회했다. 이는 단기적으로 금리에 대한 불확실성을 높이고 주식 시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경제가 예상보다 강세를 보이자, 연준이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이 줄어들었다는 인식이 확산되었다.

JOLTS 구인 건수 증가와 12월 ISM 서비스업 지수 상승

특히, 11월 JOLTS 구인 건수의 예상 외 증가와 12월 ISM 서비스업 지수의 상승은 이러한 우려를 더욱 강화했다. 기업들이 지불하는 물가 지표도 2023년 이후 최고 수준으로 급등하여, 인플레이션 리스크가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경제 지표들은 투자자들에게 금리가 지속적으로 상승할 것이라는 신호로 해석되었고, 이는 주식 시장에 대한 신뢰를 저하시켰다.

인베스팅닷컴 참고

브랜디와인 글로벌 인베스트먼트 매니지먼트의 트레이시 첸 포트폴리오 매니저는 “이번 데이터는 미국 경제가 강세를 보이고 금리가 제한적이지 않다는 시장의 시각을 강화했다”고 언급했다. 이는 투자자들이 주식에서 자금을 빼고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채권으로 이동하는 경향을 더욱 부추겼다. 결과적으로 주요 지수들이 하락하면서, 시장의 불안정성이 심화되고 있다.

금일 자산 동향

최근 뉴욕증시는 세계 최대 전자제품 위탁 생산업체인 대만 폭스콘의 실적 호조로 인해 인공지능 반도체 기업들의 주가가 일제히 오르며 혼조세로 마감하였다.

 

애플(AAPL)은 0.67% 상승하였으며, UBS의 Daniel은 애플의 앱스토어 매출이 글로벌 13% 증가하였고, 11월과 12월 전년 동기 대비 성장세가 유지되고 있다고 보도하였다.

 

마이크로소프트(MSFT)는 1.06% 상승하였고, CNBC는 마이크로소프트가 AI 워크로드를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 센터 건립에 800억 달러를 투입할 계획이라고 전하였다.

 

테슬라(TSLA)는 0.15% 상승하였으나, Barron’s는 4분기 인도 대수가 낮은 수준으로 발표되었으나, 높은 금융 인센티브가 이를 만회할 것이라고 보도하였다.

 

US스틸(X)은 8.20% 상승하였다. 제이피모간은 바이든 대통령이 일본 Nippon Steel로부터의 인수 제안을 국가 안보 위험을 이유로 거부했다고 보도하였다.

 

넷플릭스(NFLX)는 0.08% 상승하였으며, Benchmark의 애널리스트는 넷플릭스의 콘텐츠가 다른 미디어 기업에 비해 해외 시장 진출에 유리한 조건을 가지고 있다고 보도하였다.

 

우버(UBER)는 2.72% 상승하였으나, BTIG의 Jake는 식품 배달 사업 호황에도 불구하고 차량 공유 사업이 둔화되어 우버의 성장세가 기대에 미치지 못할 것이라고 전하였다.

채권시장의 움직임

금일 자산 동향은 채권이 인상깊다. 전반적으로 채권의 가격이 하락했고, 이는 수익률 상승으로 연관된다.

오늘 채권 시장에서는 10년물 국채 수익률이 4.69%에 근접하며 17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금리가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다는 명확한 신호다.

30년물 미국채 수익률

30년물 국채 수익률도 1년여 만에 4.91%를 넘어서는 등 전반적인 금리 상승세가 뚜렷하게 나타난다. UBS 증권의 미국 금리 전략 책임자 마이클 클로허티는 “여전히 인플레이션 리스크가 높아져 국채 기간 프리미엄이 더 많이 발생하고 있다”고 경고했다. 이러한 금리 상승은 주식 시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주요 지수들이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10년물 국채 수익률

특히, 10년물 국채 수익률이 2023년 말 5%에 임박했었으며, 현재 수익률 4.64%가 유지된다면 2007년 8월 이후 신규 경매 증권 중 가장 높은 수익률이 될 것이다. 팬데믹 이후 10년물 경매는 1% 미만의 수익률을 기록했기 때문에, 이번 경매 결과는 매우 주목할 만한 사항이다. 이러한 채권 시장의 동향은 주식 시장의 투자 심리에 추가적인 압박을 가하고 있다.

앞으로의 투자 방향성

향후 투자 전략에 대해서는 신중함이 요구된다. 높은 인플레이션 리스크와 금리 인상 우려가 상존하는 가운데, 주식 시장은 변동성을 지속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방어적인 포지션을 취하거나 금리가 더 높은 채권으로 자산을 재배분하는 것이 현명할 수 있다. 특히, 시장이 금리에 대한 불확실성을 해소하기 전까지는 현금보유량을 늘리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수 있다. 장기투자자라면, 저가매수를 할 수 있는 시기이기도 하다.

 

참고로 PAA전략에 의하면, 현재의 주식시장에서 현금 보유량은 50%이다. (관련 포스팅은 여기서 확인해주세요.)

PAA 전략

마찬가지로 VAA 전략에서도 수비를 보여주고 있으며, 이는 현금보유를 해야한다는 것으로 판단이 된다. 관련된 정보는 과거 포스팅에 있으니 확인해보길 바란다. (VAA 전략 포스팅 보기)

VAA 전략

 

반응형

또한, 채권 수익률이 상승하는 상황에서 투자자들은 가치주와 배당주에 더욱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이러한 자산들은 금리 상승 환경에서도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수익을 제공할 수 있다. 방어주이면서 최근 AI 파워에 필요한 에너지 섹터는 방어주이면서 성장주이다. 관련 정보가 최신 포스팅에 있으니 꼭꼭 읽어보길 바란다.(여기)

 

더불어 경제의 강세가 지속될 경우, 고성장 산업에 대한 투자도 고려할 수 있지만, 신중한 분석이 요구된다. 따라서 시장 동향을 면밀히 관찰하며, 포트폴리오를 다양화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반응형